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오뚜기 ‘K라면’ 홍보 나섰다

오뚜기가 지난 19일부터 21일까지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전국 최대 식품박람회 ‘2025 윈터 팬시 푸드쇼(2025 Winter Fancy Food Show)’에 참가해 K 대표라면 중 하나인 진라면 등 주력 제품 홍보에 나섰다.   매년 여름과 겨울 개최되는 세계적인 식품박람회인 팬시 푸드쇼는 시장 분석가와 식품 연구원, 유명 셰프 등 회원으로 구성된 스페셜티 푸드 협회(SFA)가 주최한다. 올해 약 1000개 이상의 업체가 참가해 신선한 조합의 스낵킹, 칠리를 활용한 다양한 소스 등 식품 트렌드를 이끄는 다양한 제품을 소개했다.     오뚜기는 지난해 변경한 ‘OTOKI’ 영문 로고를 적용한 ‘진라면’의 수출용 패키지를 새롭게 선보였다. 포장 전면에 영문 ‘JIN’을 크게 강조하고 순한맛과 진한맛 등 맛 종류를 국가별 언어로 표기했다.     진라면과 더불어 글로벌 스테디셀러인 보들보들 치즈라면도 리뉴얼 패키지로 선보여 눈길을 끌었다. 보들보들 치즈라면은 오뚜기가 미국, 중국, 대만, 홍콩 등 약 39개국에 판매하고 있는 수출 전용 제품이다.   오뚜기 관계자는 “전 세계 식품 트렌드가 집약된 이번 식품 박람회에 참가해 진라면의 새로운 패키지를 선보이게 돼 뜻깊다”며 “더욱 적극적인 해외 진출과 해외 소비자와의 소통 강화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이은영 기자오뚜기 홍보 오뚜기 관계자 수출용 패키지 식품 트렌드

2025-01-21

[중앙 칼럼] 식품업계의 새 트렌드

식품 가격의 고공 행진 속에 식품산업도 빠르게 변하고 있다.  9월 식품 가격은 작년 동월 대비 11.2% 올랐다. 지난달 마켓, 레스토랑, 바에서 더 많이 지출한 셈이다.  집에서 소비하는 음식(필수 식료품) 가격도 전달 대비 0.7%, 1년 전보다 13%나 상승했다.     이런 가운데 코로나19를 겪으면서 식품 트렌드는 예기치 못한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다.  대부분 집밥은 할머니가 어머니에게 물려준 전통 조리법이다. 하지만 밀레니얼 세대나 Z세대 집밥은 완전히 다르다. 많은 레시피가 틱톡의 새로운 트렌드나 인스타그램에서 팔로워 하는 푸드 인플루언서에게서 나온다.  연구에 따르면 Z세대의 53%가 틱톡에서 새로운 음식의 영감을 찾는다.     이런 트렌드는 식품 판매에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지난해 소셜미디어의 그릴 페타 파스타 동영상으로 페타 치즈 판매가 117% 급증했다. 소위 틱톡 페타 현상(TikTok Feta Effect)이다. 이제 소셜미디어는 영감을 주는 요리를 위한 지배적인 채널이 됐고 식품 쇼핑에서도 마찬가지다.  또 다른 식품 주요 트렌드는 온라인 식품 배달이다. 경영 컨설팅 업체인 매킨지의 보고서에 따르면 온라인 식품 배달 시장 규모는 향후 5년 동안 23%가량 성장할 것으로 예측됐다.  이 두 가지 추세 결합으로 실제 식품 매장은 어려운 상황에 놓이게 됐다. 식품은 대부분 매장에서 매출의 1~3% 사이 순이익률을 갖는 저마진 사업이다.     이 수익을 창출하는 데 도움이 되는 것은 광고다. 소비자 패키지 상품(CPG)은 고객이 자주 사용하고 교체하는 상품에 대한 업계 용어다. 제너럴 밀스, 시스코, 켈로그, 허쉬, 네슬레 등 식품, 음료, 화장품 및 청소 제품 등이 포함된다.  CPG 회사들은 대형 식품 매장에서 고객이 신제품을 발견하고 구매하는 곳이기 때문에 제품 배치 비용을 지불한다.   하지만 최근 온라인 식품 배달과 소셜미디어로 신제품 구매가 이뤄지면서 CPG 광고 예산도 줄고 있다. 온라인 배송에서 광고가 증가하면서 CPG 광고 비용이 매장에서 빠르게 줄어들고 있다.     식품 소매업체는 디지털 기능을 구축해 이런 변화하는 환경에 적응해야 한다. 하지만 중소 식품매장의 경우 디지털 기능 구축에 필요한 막대한 자본을 투자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이런 가운데 전통적인 식품 산업에서 변화의 속도는 느리지만 코로나 19가 이를 바꿨다. 식품점은 시장 점유율을 유지하기 위해 식품 배달회사와 협력하고 있다.     세 번째 식품산업 트렌드는 휴대폰 사용자가 자신을 추적하는 마케팅 방법을 더 잘 제어할 수 있게 된 데 따른 것이다. 휴대폰 사용자의 90% 이상이 앱 추적에 대한 액세스를 거부하면서 업체들은 고객 데이터 확보가 어렵게 되자 개인 타겟팅을 추구하면서 대량 개인화 옵션을 찾기 시작했다. 바로 소셜미디어 인플루언서가 이를 가능하게 하는 채널이 된 것이다.     미국에서 푸드 인플루언서의 수가 증가하고 있고 소셜미디어 채널을 통한 게시물 누적 수는 엄청나다. 대부분 푸드 인플루언서는 지난해까지만 해도 자신이 좋아하는 제품을 무료로 홍보했다. 최근에는 제품을 홍보하는 인플루언서 게시물 가격은 팔로워 규모에 따라 200달러에서 5만 달러 이상이다.     MZ 세대가 식품 온라인 배달, 푸드 인플루언서 영향으로 식품 구매를 하는 시대다. 사람들이 영향력 있는 인플루언서를 따라 어떤 식품을 살지 결정하는 미래를 상상하는 것은 어렵지 않다.  광고 예산이 푸드 인플루언서에게 더 많이 집중되리라는 것도 예측할 수 있다. 식품 온라인 주문이 더 늘어날 것이라는 예상도 크게 다르지 않을 것이다.     이는 매장 판매에 집중하는 전통적 비즈니스를 고수하고 있는 한인마켓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이제 온라인 식품 배달과 소셜미디어 마케팅은 멈출 수 없는 식품업계의 흐름이 되고 있다. 이은영 / 경제부 부장중앙 칼럼 식품업계 트렌드 식품 트렌드 온라인 식품 식품 매장

2022-10-18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